Mon Jun 2 2:31 AM(ing : 0s)
Resume
이름
한정아
EMAIL
mongndam@naver.com
GMAIL
jeongahan1225@gmail.com
Birth
1995.10.16

경력 사항

딥메디(헬스케어 스타트업) / 웹 프론트 팀 / 사원 / 2022.08 ~ (재직 중)

TechSoupKorea(청년 디지털 소셜임팩트 일자리 사업) / 웹프로그래밍 / 인턴 / 2021.09.01 ~ 2021.12.15

코드는 나를 위해 쓰는 것이 아니라, 동료를 위해 쓰는 것입니다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릴리즈되기까지는 내부에서 지속적인 QC(품질 점검)과 개발자 간 코드 리뷰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개발자 입장에서는 편한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당장은 빠를 수 있지만, 프로젝트는 늘 한 사람만 유지보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결국 동료코드를 수정하거나 보완해야 할 상황이 생깁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저는 코드를 작성할 때 효율성뿐 아니라 직관성과 확장성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깊이 체감했습니다. 개인이 이해하기 쉬운 코드를 넘어, 동료가 빠르게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특히 스타트업 환경에서는 프로젝트 주기가 짧고 수정·업데이트가 빈번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구조적이고 명확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필수적이었습니다. 모듈화를 지나치게 세분화하면 확장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코드가 지나치게 풀어져 있으면 직관성이 약해지는 문제를 직접 경험하며, 적절한 균형을 잡는 방법을 고민하고 실천해왔습니다. 개발은 혼자 하는 작업이 아니라, 동료와 함께 서비스를 완성해가는 과정이라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협업에 최적화된 코드를 작성하려는 태도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개발 지식은 기본, 문서화와 체계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였습니다

기존에는 동료 개발자와 소수로 협업하면서 구두로 정보 공유와 개발 상황 파악이 수월했지만, 신입 개발자 두 명의 멘토를 맡게 되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신입 개발자분들은 프로젝트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에, 기존 프로젝트 정보 전달과 작업 환경 정비가 필요해졌습니다. 하지만 별도로 정리된 문서나 기준이 부족해, 레포지토리 구조와 프로젝트 전반을 다시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코드 컨벤션, 브랜치 전략 등 개발 규칙을 공유하고, 업무 상황 파악과 분배, 피드백을 신속하게 처리해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문서화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꼈고, 노션을 활용해 프로젝트 구조와 가이드 문서를 정리하고, GitHub를 통해 실시간 업무 반영과 코드 리뷰, PR 관리 체계를 강화했습니다. 문서화와 업무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면서, 협업 과정에서 정보 전달의 명확성과 피드백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단순한 개발 역량을 넘어, 팀 전체의 생산성과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협업 문화를 구축하는 중요성을 깊이 체득할 수 있었습니다.

팀워크를 만드는 첫 번째 개발 역량, 소통

초기에는 회사 규모가 작아 디자이너, PM, 모바일 개발자 등 담당자들과 직접 대화하며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회사가 성장해 기획팀, 디자인팀, 모바일팀, 웹팀, 백엔드팀 등 팀 단위로 조직이 나뉘면서 소통의 복잡도가 급격히 높아졌습니다. 회의 일정부터 기획 변경사항까지, 모든 정보가 일관되게 전달되지 않으면 작은 착오가 큰 문제로 이어졌습니다. 실제로 기획 변경이 개발팀에 제대로 공유되지 않아 피그마를 통해 수정사항을 뒤늦게 알게 되거나, 회의록 부재로 인해 논의 내용을 모르는 상황이 반복되었습니다. 특히 POC 단계에서 주 단위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는, 일정과 피드백이 명확히 공유되지 않으면 업무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몸소 경험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이 아니라, 팀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정보를 주고받으며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깊이 깨달았습니다. 체계적인 소통 시스템은 물론, 개발자 개인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소통 역량 역시 서비스의 완성도와 직결된다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는 개발 업무를 진행할 때도 '나' 중심이 아니라 '팀' 중심에서 생각하고, 항상 명확한 공유와 이해를 우선하는 태도로 임하고 있습니다.

사내 스터디가 없다구요? 그래서 만들었습니다.

사내에 체계적인 스터디 문화가 없던 상황에서,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자 스터디를 직접 기획하고 운영했습니다. Electron 기반 윈도우 프로그램 개발을 경험하면서 모바일 앱 개발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고, 접근성과 범용성을 고려해 React Native를 학습 분야로 선택했습니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와 함께 커리큘럼을 수립하고, 주 1회 만나 진도 점검과 토론을 진행하며 학습 방향을 맞췄습니다. 각자 온라인 강의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고, 저는 익숙한 JavaScript 언어로 낯선 모바일 앱 구조를 이해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상대방은 익숙한 앱 구조를 새로운 언어로 구현하며, 서로의 학습 과정을 교차 검증하고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React Native의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와 앱 개발 흐름을 실전에서 익혔으며, 웹과 앱 간 구조적 차이를 비교하며 유연한 사고를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학습하고, 주도적으로 성장 기회를 만들어가는 과정 속에서 협업과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을 자연스럽게 키울 수 있었습니다.

교육 이수 내역

기업연계형 프론트엔드 실무 프로젝트 과정 | 서울산업진흥원 & 엑스퍼트컨설팅 / 2022.04 - 2022.07

- HTML, CSS, JavaScript, React 기반 웹서비스 개발 과정 이수

- 비즈니스 교육 / CBP

인공지능 교육 과정(5기) 고급과정(언어) 주말반 | 한국IT비즈니스진흥협회 / 2021.08 ~ 2021.09

- Google Colab을 이용한 NLP

파이썬을 활용한 머신러닝 프로젝트 | 한국IT교육재단 / 2021.05 ~ 2021.08

- Python 프로그래밍 / TensorFlow / Pytorch

외국어 / 자격증

중국어

- HSK 4급 취득

- 시안 서북대학교(西北大学) 어학연수 1년 (2015.08 ~ 2016.08)

스페인어

- 기초 회화 및 작문 가능

영어

- 일상 회화 가능

증권투자권유대행인

한국금융투자협회

취득일: 2021.04.08

기술 스택

📦 프레임워크 / 라이브러리

React

Next.js

React Native

Electron

🎨 스타일링

Tailwind CSS

Styled-Components

CSS

🧠 상태관리

Recoil

React Query

Zod

🧰 백엔드 / 서버

Node.js

Express.js

Firebase

🧪 언어

TypeScript

JavaScript

HTML

Python

🎨 디자인 도구

Figma

🔧 협업 / 도구

vite

Git

GitHub

Notion

Slack